좋은글

한국 최고 부자, 이건희의 집무실엔 ‘공수래 공수거’

감투봉 2020. 10. 26. 20:30

한국 최고 부자, 이건희의 집무실엔 ‘공수래 공수거’

[이건희 회장 별세]

신은진 기자

한경진 기자

입력 2020.10.26 00:00

삼성그룹 영빈관인 승지원에는 호암 이병철 삼성 창업주가 쓴 서예작품 ‘공수래공수거(空手來空手去·빈손으로 왔다 빈손으로 간다는 뜻)’가 걸려 있다. 이병철 회장은 이 글귀를 무척 좋아해, 이 글귀를 쓴 170점 이상의 작품을 남긴 것으로 알려졌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도 자신의 집무실로 사용한 승지원에 부친이 쓴 이 작품을 걸어 놓고 늘 가까이했다.

이건희 삼성 회장은

삼성 측은 25일 별세한 이건희 회장의 장례에 대해 "고인과 유가족의 뜻에 따라 간소하게 가족장(葬)으로 치르기로 했다”며 “조화와 조문은 정중하게 사양한다”고 밝혔다. 삼성그룹 최고 경영진은 ‘삼성그룹장(葬)’으로 하자고 건의했지만, 가족장으로 하겠다는 유족들의 뜻이 강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보유 주식 가치만 18조2000억원으로 부동의 국내 1위이자, 세계 67위 대부호인 이 회장의 마지막 길은 남들처럼 조용하고 소박하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한 삼성 인사는 “이 회장이 저 글귀에 큰 애정을 가진 것은 국내 최대 기업인 삼성을 이끌고 있지만 ‘빈손으로 왔다’는 걸 늘 생각하며, 끊임없이 변화하면서 새로운 것을 창출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 것 아니겠느냐”고 했다. 이 회장은 마지막 길에도 '공수거’를 실천했다는 것이다.

이건희 말말말

이 회장은 삼성서울병원 건립 등을 통해 국내 장례 문화를 개선하는 데에도 상당한 역할을 했다. 그는 1993년 삼성의료원 건립 공사 현장을 찾아 “낙후된 병원이 환자 입장에서 얼마나 큰 고통인지 너무도 잘 알면서 그대로 둔다는 것은 사회적으로 책임 있는 기업의 총수로서 할 일이 못 된다”고 강조했다. 삼성서울병원은 개원 때부터 장례식장을 직영으로 운영해 장례 물품 바가지 등을 원천적으로 차단했고, 입관 업무에 관련된 사람들을 공개하는 ‘입관 실명제’를 도입해 ‘촌지 문화’를 축출했다. 술과 화투가 판치고, 시신을 수습하는 과정에서 돈이 오가는 폐습을 바꾸는 데 앞장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건희(오른쪽에서 둘째) 삼성 회장이 1993년 삼성의료원 건립 공사 현장을 방문해 현장 담당자와 의견을 나누고 있다./삼성

이날 장례식장은 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해 (장례식장에) 실내 50인 이상 모이는 것을 금지했다. 오후 7시25분에는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이 이호승 청와대 경제수석과 함께 장례식장을 찾았다. 노 실장은 10여분간 빈소에 머물며 문재인 대통령의 애도 메시지를 유가족에게 전달했다.

 

#이건희 회장 별세

 

Copyright 조선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