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선영의 IT월드] 중국 공유자전거 회원 2억명, 하루 데이터만 30TB
GPS 달아 실시간 수요·동선 파악
AI 활용해 자전거 배치 최적화
15개국서 하루 3000만 명 이용
모빌리티 판도 바꾸는 미래산업
텐센트 자회사가 4조원에 인수
한국서도 정부·기업과 협업할 것
서비스 출시 2년 만에 회원 2억명, 하루 자전거 이용객 수 3000만명, 기업가치 27억 달러(약 2조8800억원), 텐센트 등으로부터 받은 투자액 10억 달러(약 1조700억원)….
중국 공유자전거 업체인 ‘모바이크’는 전 세계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0억 달러 이상 비상장기업) 중 네 번째로 기업가치가 큰 곳이다. 공유자전거란 일정한 요금을 내고 시내 곳곳에 위치한 렌털 장소에서 자전거를 빌려 타고 반납하는 서비스다. 회사 설립 3년, 해외 시장에 진출한 지 1년이 갓 지났는데 모바이크는 이미 중국을 포함한 15개국 200개 도시에서 영업하고 있다. 빠른 성장 속도 때문에 글로벌 기업들이 모두 주시하고 있는 스타트업이다.
모바이크를 세운 후웨이웨이(胡瑋煒·36) 창업자 겸 회장은 중국에서 10년간 정보통신기술(ICT)·자동차 업계를 취재해온 기자 출신 사업가다. 자동차 전문 온라인 매체 ‘긱카’를 세우기도 했던 그는 중국의 심각한 대기 오염과 교통 문제를 해결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내가 즐겨 타는 자전거가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판도를 바꿀 수 있다”는 확신이 든 뒤 떠오른 것이 공유자전거 사업이었다. 후 회장은 기자 시절 취재원으로 만나 알게 된 자동차 전문가 시아이핑(夏一平)을 설득했다. 두 사람은 2015년 초 모바이크를 세웠고 모바이크는 이듬해 4월 중국 상하이에서 영업을 시작했다. 시아이핑은 현재 모바이크의 최고기술책임자(CTO)다.
후 회장은 이달 초 중앙일보와의 이메일 인터뷰에서 “모바이크를 노상 자전거를 빌려주는 사업으로 생각하면 안 된다”며 “정보기술(IT)을 자전거에 접목해 대기·교통 등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사람들에게 꼭 필요한 ‘라스트 마일’ 교통 수요를 충족시키는 미래 산업”이라고 강조했다. 라스트 마일이란 사람이 버스·지하철·자동차 등으로 이동한 다음 최종 목적지까지 갈 수 있는 마지막 단계를 가리키는 말이다.
“모든 사람들이 자동차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나는 중국뿐 아니라 전 세계 많은 도시에도 공유자전거에 대한 엄청난 수요가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땅덩어리가 넓어 애당초 대중교통·자동차만큼이나 자전거에 대한 수요가 많았던 중국은 공유자전거 사업이 잘될 수밖에 없는 나라다. 모바이크는 1조원 투자금 중 상당 부분을 기술 개발에 썼다. 후 회장은 “서비스 개시 전 1년을 꼬박 사물인터넷(IoT) 등 최신 기술을 도입에 할애했다”고 말했다.
전 세계 주황색 모바이크 자전거 900만 대에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이동통신용 심(SIM) 카드와 글로벌위치확인시스템(GPS) 칩이 내장되어 있다. 회사는 자전거에 대한 실시간 수요와 자전거 동선을 파악할 수 있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하면 최적의 장소에 필요한 자전거만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혁신적인 폴리우레탄 소재를 타이어에 사용해 무게가 20% 가벼워졌다. 후 회장은 “모바이크 자전거는 친환경적이면서도 튼튼한 소재를 써서 4년간 수리가 필요 없게 만들었다”고 강조했다.
편리한 사용 방법과 저렴한 요금도 공유자전거의 인기 비결이다. 모바이크 앱(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으면 이용자의 현재 위치와 가장 가까운 자전거 위치가 지도에 나온다. 모바이크 자전거에 붙은 QR코드를 앱으로 찍으면 대여 절차는 끝난다. 지폐나 신용카드를 꺼내 대여료를 지불할 필요도 없고, 자전거에 채워진 자물쇠도 없다. 중국에서 이용 가격은 30분당 0.5위안~1위안(85원~170원) 수준이다. ‘오포’를 비롯한 유사 업체들과의 경쟁으로 초기에는 ‘0위안 이벤트’가 넘쳐나기도 했다.
중국 공유자전거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모바이크와 오포는 이제 중국을 넘어 세계 각국에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이제는 미국·영국 등에서 모바이크·오포를 벤치마킹한 공유자전거 후발주자들이 등장할 정도다. 공유자전거 사업은 수백만 대의 자전거를 구비하고 최신 IT 기술로 운영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초기 비용이 많이 필요하다. 그에 반해 대여 이용 요금은 저렴하다. 그런데도 전 세계는 이 돈 안 돼 보이는 사업에 주목한다.
후 회장은 “우리가 모바이크를 운영하며 하루에 수집하는 빅데이터만 30테라바이트(TB)에 달한다”며 “전 세계 회원 2억명의 교통 데이터를 연결하면 세계 최대 네트워크가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자율주행자동차 등 모빌리티 시장에 앞으로 변화가 생길 텐데 교통 관련 사업을 하는 기업·기관들에게 이런 빅데이터는 천금과 같은 자산이다.
모바이크의 최대 주주는 중국 IT 대기업 텐센트다. 오포 역시 알리바바 그룹의 금융 자회사 앤트 파이낸셜로부터 투자를 받았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공유자전거 시장에서 모바이크와 오포의 경쟁은 텐센트와 알리바바의 대리전”이라고 해석했다.
지난 3일 텐센트가 최대 주주인 중국 최대 외식배달 서비스 업체인 ‘메이퇀(美團)’이 모바이크를 37억 달러(약 3조9500억원)에 인수하기로 했다. 후 회장의 모바이크 경영 체제는 앞으로도 유지될 예정이다. 텐센트는 음식(메이퇀)·교통(모바이크)·결제(위챗페이)·메신저(QQ) 등을 섭렵해 ‘수퍼 플랫폼’으로서의 지위를 굳히고 있다.
자전거 문화가 중국만큼 보편적이지 않은 한국에서 공유자전거 사업은 성공할 수 있을까. 모바이크는 지난해 12월 경기도 수원시와 성균관대 수원캠퍼스를 시작으로 시범 운영을 시작했다. 오포 역시 부산에서 영업을 시작했다.
국내에서 공유자전거에 대한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 서울시는 2015년부터 공공자전거 ‘따릉이’ 사업을 시작했다. 지난해 5600대였던 자전거 대수를 올해 2만대까지 늘릴 계획이다. 후 회장은 “환경친화적 도시를 만들고 싶은 수원시의 의지와 우리의 사업 철학이 잘 맞아떨어졌다”며 “한국에서도 점차 이같은 지자체·기업들과의 협업 사례를 늘려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선영 산업부 기자 dynamic@joongang.co.kr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주이씨 와 전주이씨 왕실과의악연 (0) | 2018.05.07 |
---|---|
베트남의 삼성전자 (0) | 2018.04.16 |
KT, 무약정 요금제 가세 .. 불붙은 이통사 '요금 전쟁' (0) | 2018.03.15 |
파라과이 미녀 무용수들의 열정 카니발 (0) | 2018.02.26 |
서울강변북로 26㎞에 태양전지판 설치…8800가구 한달 전력량 절감 (0) | 2018.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