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글

'임인년' 새해가 밝았다고요?..아직 '신축년'입니다

감투봉 2022. 1. 2. 18:54

[팩트체크] '임인년' 새해가 밝았다고요?..아직 '신축년'입니다

장하나 입력 2022. 01. 01. 09:30

 

60갑자 연도 표기는 음력이 기준..음력 설부터 임인년
사주명리학에서는 입춘부터 새해로.."2월4일 오전 5시51분 이후 태어나야 호랑이띠"

2022년 임인년의 상징 호랑이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장하나 기자 = "임인년(壬寅年) '검은 호랑이의 해'가 밝았습니다" "2022년 임인년 새해를 맞아…"

2021년에서 2022년으로 해가 바뀌면서 기관장이나 단체장 등이 내놓은 신년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문구다.

새해를 축하하며 지인 등과 덕담을 주고받는 연하장에서도 '임인년 새해'라는 표현은 심심찮게 등장한다.

하지만 엄밀히 따지면 임인년은 아직 시작되지 않았다.

'60갑자' 표기인 임인년은 음력 연도

천문법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공식 역법은 양력이다.

천문법 5조는 천문역법(천체운행의 계산을 통해 산출되는 날짜와 천체의 출몰 시각 등을 정하는 방법)을 통해 계산되는 날짜는 양력인 그레고리력을 기준으로 하되 음력을 병행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설날과 추석 등의 전통 명절은 음력에 따라 정해진다.

2022년 달력을 보는 의료진 [연합뉴스 자료사진]

우리가 2021년, 2022년과 같이 숫자로 표기하는 양력 연도에 대칭되는 신축년(辛丑年), 임인년 등의 음력 연도 명칭은 60갑자(甲子) 표기다.

한국천문연구원이 발간한 '2022 역서'에 따르면 전통적으로 음력에서는 년, 월, 일을 표기할 때 간지(干支)를 사용한다.

간지는 갑(甲)·을(乙)·병(丙)·정(丁)·무(戊)·기(己)·경(庚)·신(辛)·임(壬)·계(癸) 등 10개의 천간(天干)과 자(子·쥐)·축(丑·소)·인(寅·호랑이)·묘(卯·토끼)·진(辰·용)·사(巳·뱀)·오(午·말)·미(未·양)·신(申·원숭이)·유(酉·닭)·술(戌·개)·해(亥·돼지) 등 12개의 지지(地支)를 조합해 만든 60개의 주기다.

각 년에 배정되는 간지를 세차(歲次), 월에 부여되는 간지를 월건(月建), 일에 배정되는 간지를 일진(日辰)이라고 하는데 세차와 월건, 일진은 60개의 간지가 순서대로 연속해 배치된다.

'호랑이 그림'전(展)을 찾은 시민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2022년을 나타내는 임인년은 60간지의 39번째 해이다.

음력 연도가 바뀔 때 세차가 바뀌는 것이기 때문에 실제로 임인년이 시작되는 것은 음력 1월 1일부터로 봐야 한다. 양력으로는 2월 1일부터 임인년이 되는 셈이다.

박한얼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관습적으로 양력으로 해가 바뀌면 '00년 새해가 밝았습니다'라고 하는데 정확히 따지면 음력 연도의 이름이기 때문에 음력에 따라 바꿔 쓰는 게 맞다"며 "다만 (2022년과 임인년이) 연도 자체는 매칭이 되니 (임인년으로) 써도 큰 무리는 없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입춘 이후에 태어나야 호랑이띠"

반면 사주명리학에서 보는 새해의 기준일은 이와 다르다.

역술인 등이 토정비결을 보거나 사주 등을 따질 때는 새해의 시작을 양력 1월 1일이나 음력 1월 1일이 아니라 통상 24절기(節氣) 중 첫 번째 절기이자 만물이 소생하는 입춘(立春)으로 본다.

봄맞이(입춘첩) [촬영 안철수]

사주명리학 분야 권위자인 김동완 동국대 미래융합교육원 교수는 "사주명리학은 태양력을 사용해 태양의 기울기가 어느 정도 왔는지 보는 것이기 때문에 새로운 한 해의 시작은 태양의 기운에 봄기운이 시작되는 시기부터 잡는다고 봐야 한다"며 "그게 대체로 양력 2월 초"라고 설명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따르면 절기는 태양년을 태양의 황경(黃經)에 따라 24등분한 기후의 표준점이다.

여기서 황경은 태양이 춘분(春分)에 지나는 점(춘분점)을 기점으로 황도(黃道)에 따라 움직인 각도를 말한다. 동쪽(반시계방향)으로 15도 간격으로 24개의 점을 정했을 때 태양이 각 점을 지나는 시기로 절기의 날짜가 구분된다.

입춘은 황경이 315도일 때로, 2022년의 경우 2월 4일 오전 5시 51분이다. 다시 말해 사주명리학상으로는 이 시각 이후에 태어나는 아기가 '호랑이띠'라는 것이다.

백운산 한국역술인협회장은 "음력 1월 1일이 지나면 한 살 더 먹었다고 하지만, 사주를 보거나 이름을 지을 때는 이조 때부터 내려온 천세력(千歲曆)에 따라 입춘이 지나야 새해로 본다"며 "올해는 2월 4일 묘시(오전 5∼7시)가 넘어서 태어나야 임인년 호랑이띠"라고 말했다.

한국천문연구원 '2022 역서'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다만 일각에서는 1년 중에서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인 동지(冬至)를 한 해의 시작으로 보기도 한다. 동지 이후부터 낮이 길어지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고대인이 동지를 태양이 죽음으로부터 부활하는 날로 생각하고 축제를 벌여 태양신에 대한 제사를 올렸으며, 중국 주(周)나라에서 동지를 설로 삼은 것도 이날을 생명력과 광명의 부활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적고 있다.

이에 대해 김동완 교수는 "동지가 낮의 길이가 길어지는 때라서 한 해의 시작을 동지로 보는 이도 있는데 이는 1% 정도에 불과하며 크게 통용되지는 않는 주장"이라며 "일반적으로는 입춘을 한 해의 시작으로 본다"고 말했다.

한편 양력인 그레고리력은 대한제국 시기 고종 황제가 조선 개국 504년(고종 32년, 1895년) 음력 11월 17일을 개국 505년(1896년) 양력 1월 1일로 개력했을 때 처음으로 공식 채택됐다.

hanajjang@yna.co.kr

<<연합뉴스 팩트체크팀은 팩트체크 소재에 대한 독자들의 제안을 받고 있습니다. 이메일(hanajjang@yna.co.kr)로 제안해 주시면 됩니다.>>

저작권자(c)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