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랏빚 지금처럼 늘면, 2036년엔 빚내서 빚갚을 판"
김도년 입력 2019.01.07. 00:03
GDP 대비 국가채무 70.6% 전망
재정 지속가능성 확보 어려워져
현 정부 재정정책 '재수강' 수준
Q : 신 전 사무관 폭로로 재정 문제가 이슈가 됐다.
A : "실무진 반대로 여의치는 않았지만, 정부가 적자 국채 발행 추진한 것을 보고 아쉬움이 들었다. 갈수록 나빠지는 장기 재정 전망을 고려했다면, 이를 쉽게 추진하긴 어려웠을 것이다. 다음 정부에서도 공직 생활을 해야 하는 실무자 입장에선 (적자 국채 발행을) 반대하는 게 당연하다. 경제부총리가 실무진에게 이야기를 꺼낼 사안은 아니었다.”
Q : 현 정부의 재정 정책을 점수로 매긴다면.
A : "현 정부에서 중장기 재정 문제를 염려하는 목소리가 들린 적이 없다. 국민연금의 지속 가능성 문제가 제기된 적이 있듯이, 전반적인 재정 상황도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점을 다시 고민해야 한다. 정부 재정 정책을 ‘재수강을 해야 할 수준’으로 보는 이유다.”
Q : 나랏빚은 현 정부에서만 늘어난 건 아닌데.
Q : 2036년 재정 위기 가능성을 경고해 왔다. 그 근거는.
A : "국회예산정책처가 발간한 ‘2016~2060년 장기 재정전망’에 따르면 한국은 GDP 대비 국가채무 비중이 70.6%가 되는 2036년 이후 재정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2036년 이후엔 정부가 나랏빚에 붙는 이자를 갚기 위해 빚으로 빚 막기를 해야 한다는 뜻이다. 공무원·군인연금 등 공적연금과 복지 지출 등 정부가 함부로 줄이기 힘든 지출(의무지출)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Q : 북유럽에 비하면 한국은 여전히 복지가 취약한 것 아닌가.
A : "북유럽에선 복지를 산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필요한 일종의 ‘보험’으로 본다. 경제는 시장 친화적으로 운영하고, 복지는 이를 보완하기 위한 수단이다. 그러니 세수도 많아 재정 건전성이 우수하다. 반면 한국의 복지 정책은 그때그때 온정주의적으로 만들어진다. 재정이 넉넉하지 않다면 반드시 해야 할 복지에만 집중해야 한다.”
Q : 현 정부에 바라는 재정 정책은?
A : "우선 산업은행 등 공기업 부채까지 몽땅 포함해 정확한 국가채무 규모를 파악해야 한다. 그래야 건전 재정 운영이 가능하다. 네덜란드 경제정책분석국(CPB)처럼 정당별 공약이 중장기 국가 재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시스템도 필요하다. 재정기구의 정치적 독립성도 키워야 한다. 국회예산정책처 처장이 국회의장이 바뀔 때마다 스스로 사임하는 관행부터 바꿔야 한다. 이는 OECD에서도 “이상한 관행”이라고 지적한 적이 있다. 예산정책처장 임기부터 4~6년 정도로 늘리고, 퇴직 이후에도 정치적 중립을 보장해야 한다.”
세종=김도년 기자 kim.donyun@joongang.co.kr
'정치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지자 20명 데리고 목포 내려간 손혜원… 적산가옥 4채 보여주며 "여기 꼭 뜬다" (0) | 2019.01.17 |
---|---|
지상 131, 지하 125… 미세먼지 피할 곳이 없다 (0) | 2019.01.15 |
국토부, 공시지가 2배로 올리라고 감정평가사에 지침 내렸다" (0) | 2019.01.05 |
與, 오전까지 "가증스러운 사기꾼" 조롱글… 자살기도 알려지자 삭제 (0) | 2019.01.04 |
"청와대가 KT&G 사장 교체 지시"2 (0) | 2018.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