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탈원전 앞잡이와 구경꾼의 밥그릇 다툼

감투봉 2020. 8. 8. 15:52

[태평로] 탈원전 앞잡이와 구경꾼의 밥그릇 다툼

조선일보

입력 2020.08.07 03:16 | 수정 2020.08.07 10:56

경제성·안전성 뛰어난 원전, 온실가스·미세 먼지 배출은 '0'

박은호 논설위원

잘 닦인 도로가 있다.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값싼 비용으로 안내한다. 건설 기술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 수출로 국부(國富)까지 창출한다. 그런데 어느 날 도로 관리소장이 느닷없이 도로 폐쇄를 선언하더니 산을 깎고 숲을 베어내 새 길을 내겠다고 한다. 더 많은 세금이 들고 환경을 해치고 목적지에 닿는 시간도 지체된다. 세금으로 월급 받는 관리소 직원들은 소장의 부당한 지시에 입도 뻥긋 않은 채 앞장서 새 도로를 놓으려 한다.

탈원전이 딱 이렇다. 관리소장은 현 정권, 관리소 직원들은 산업통상자원부와 환경부다.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 7000억원 들여 보수한 월성 1호기 조기 폐쇄, 신규 원전 건설 백지화, 30~40년 가동 허가를 받은 원전 10기의 수명 연장 금지 등 탈원전 조치가 줄을 이었다. 공정률 10%인 신한울 3·4호기는 건설이 아예 중단됐다. 그러고선 전국에 태양광판이 벌어졌다. 매일 축구장 10개 규모의 숲을 베어내고 산을 깎더니 저수지까지 태양광 패널로 덮으려 했다. 지난 3년 무모한 탈원전 과정에서 산업부는 앞잡이, 환경부는 구경꾼 역할을 했다.

그런 두 부처가 요즘 갈등이 최고조에 이르렀다고 한다. 2033년까지 원전·석탄·재생에너지·LNG 발전 비율 등 '전력 믹스(mix)'를 정하는 9차 전력수급계획을 놓고서다. "차관 이하 실무진이 자리를 걸고 벌이는 사투"라는 말까지 나온다. 정부는 2017년 말 수립한 8차 계획에서 전기를 친환경적으로 생산한다며,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 비용을 발전단가 산정 등에 반영하기로 합의했다. 톤당 2만~4만원 수준에서 거래되는 배출권 비용이 반영되면 LNG가 석탄보다 유리해지고 발전 시장에 큰 판도 변화가 일어난다. 이렇게 되면 발전단가·용량요금 결정, 변동비 정산 및 정산조정계수 등 온갖 수단으로 국내 발전사들을 장악해온 산업부의 영향력이 크게 줄어들 수밖에 없다. 그런데 최근 산업부가 9차 계획 협의 과정에서 '3년 전 합의를 없던 것으로 하자'며 뒤집고 나오자 환경부가 발끈하고 있다는 것이다. 환경부는 산업부가 요청한 9차 계획 환경평가를 최근 두 번 퇴짜를 놨다.

부처 밥그릇 다툼을 얘기하려는 게 아니다. 원전 퇴출로 태양광·LNG를 대폭 늘리면 전기요금이 얼마나 오르는지, 온실가스가 과연 줄어들어 기후변화 완화에 도움이 되는지, 미세 먼지가 개선돼 좀 더 편하게 숨 쉴 수 있는지에 관심이 있다. 여기에 가장 적격이 원전이라는 것은 과학적 사실이다. 전력 1kWh 생산할 때 배출되는 온실가스가 석탄 904g, LNG 386g인 반면 원전은 제로(0)에 가깝다. 미세 먼지 배출도 거의 없고, 가장 값싸고, 생산하는 단위 전력당 사망자가 압도적으로 적은 것도 원전이다. 원전은 2년치 넘는 연료가 비축돼 있다. LNG 50일, 석탄 15일보다 연료 공급 안정성이 비교할 수 없이 높다. 가장 깨끗하고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전기가 원전이다.

이런 과학적 사실을 탈원전 정권도 산업부도 환경부도 모를 리 없다. 유엔환경계획을 비롯한 국제기구들도 "기후변화에 대응하려면 원전을 활용해야 한다"고 권고하고 있다. 9차 전력계획은 원래 작년 말까지 수립됐어야 한다. 그런데 해를 넘겨 올 6월로 연기하더니 다시 8월로 늦췄다고 한다. 공무원 사이에선 "올 4월 총선에서 전기요금 인상 논란을 피하고 싶었기 때문"이라는 얘기가 오래전부터 파다했다. 정권은 탈원전을 막무가내로 밀어붙이고 부처 공무원들은 국민 안전, 환경, 전기요금 인상보다 정권 눈치가 우선이다. 세금으로 월급 주는 게 아깝다는 국민이 한둘이 아닐 것 같다.

 

 

좋아요 770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8/06/2020080604535.html